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isplay
- split
- 문자열
- javascript
- 이벤트 함수
- substr
- 길이제한
- truncate
- DB
- substring
- insert
- script
- 속성
- 마우스
- sql
- Table
- href
- mouseout
- jQuery
- 실행막기
- SHOW
- hide
- checked
- forEach.
- 칼럼
- Radio
- 스크립트
- JSTL
- 광명
- DELETE
- Today
- Total
홈페이지 제작 전문 업체 Infovider 光明
홈페이지글 꾸미다 보면 특정 태그들을 숨겼다 보였다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기존에 javascript에서는obj.style.display 항목을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었다.값은 block, inline, none을 지정할 수 있고,(그 외 많이 있지만, 주로 이 세가지를 사용) obj.style.display = "block"을 하면 보이고obj.style.display = "none"을 하면 숨김이 된다. 마찬가지로 inline 속성을 사용하면 인라인 박스로 만든다. 아무튼 위처럼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절하여도 되지만 간단하게 jQuery함수를 사용해도 된다. $("#id").show()함수와 .hide()함수이다..show()함수는 display:block과 같고.hide()함수는 display:no..
엑셀을 하다보면 숫자가 들어있는 셀과 문자가 들어있는 셀을 합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때는 밑에서 설명하는 세가지를 적절히 섞어서 사용하면 훌륭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첫번째는 수식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수식을 쓸 때는 '='을 넣어서 쓰는데 보통 '=3+2'이렇게 쓰면 5라는 표시가 뜬다. 이 때, '&'기호를 사용하면 문자열과 숫자 수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월 가계부 | 8월 가계부 -> 를 표현하고 싶다면 A B C 1 7 2 =A1&"월 가계부" =A1+1&"월 가계부" 3 위의 표처럼 수식과 문자열 사이를 '&'기호로 연결해 주면 된다. 조심할 것은 문자열은 반드시 "" 이것으로 묶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면 실제 A2에 표시되는 것은 '7월 가계부'이고, B2에 표시되는 것은 ..
댓글 작업하다 보니 댓글 페이징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pagination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편하지만, 전임자가 해놓은거 쳐다보기 싫어서 그냥 개발하는 걸로(;;더 귀찮진 않겠지?;;) 아무튼 하다보니 태그를 비활성화 해야겠는데 할 방법이 없다. 이게 넘어온 디자인 상 이든 든 넣을 수도 없고 disabled도 hidden도 안먹고 나이가 들어서인지 문법은 생각도 안나고 한참 구글링을 하다가 머리를 치는 생각; 아;; 그냥 href를 안걸면 되잖아;; 먼가 뒤통수 맞은 느낌이다. 역시 코딩은 쉽게 쉽게 생각해야 해 혹시나 찾다보니 너무 쉬운 문제라 나와 있지 않아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포스팅 해봅니다. 이전 이것을 이전 로 하면 그냥 비활성화이다. 왜냐 이동할 링크가 없으니 동작도 전무. 좋은 저녁 ..
웹개발을 하다 보면 동적으로 태그들을 집어넣어야 하는 상황이 온다. 그런데, 그냥 페이지야 document.innerHTML로 하면 되지만, 이게 표준도 아닌데다가(앞으로 쓸일이 거의 없지 않을까?) 프레임웍이 이것저것 덕지덕지 붙어있다 보면,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특히나, jQuery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것이 있다. .html() .append() 이 두가지다. 두가지 다 ()안에 값을 넣으면 set이되고 ()만 쓰면 get이 된다. 예를들어 $(".test").html() 이라고 하면 css class="test"인 태그의 내부 html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test").html("test") 라고 하면 css class="test"인 태그의 내부에 "test..
각 페이지 상에서 태그로 변수를 선언하고 바로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게 JSTL이다. 용법은혹은변수값이다. 여기서 변수이름으로 언제든 사용가능하다. 단, 반드시 초기값을 넣어야 한다. 그리고 scope는 이변수가 이용될 범위를 나타낸다. 그런데 여기서 Sitemesh를 사용하고 있다면 2번째 선언법으로 해서 변수값 부분(1번째 선언법으로 초기값에 사용가능)에 이라고 선언가능하다는 것이다.쉽게 예를 들자. main이라는 변수가 필요하다고 보자.이때 sitemesh를 사용하고 있어서 변수값을 이렇게 지정하고 사용하면각페이지 상단에서 으로 변수값을 지정가능하다. 즉, sitemesh로 페이지를 쪼개놓으면 메뉴와 body간에 데이터 호환이 잘 안되는 부분을 sitemesh에서 getProperty지정자로 변수값..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날짜값을 필요로 할 때가 있다. 혹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복사를 해갈 필요도 있다. 그런데 정작 복사를 해보면 41234라는 이상한 숫자값이 나타나기 때문에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 이는 엑셀에서 날짜값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1900년 1월 1일을 1로 해서 순차적인 순서값을 가진 데이터로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7월 8일 같은 날짜값을 텍스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text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용법은 아래와 같다. =TEXT(cell값, 날짜데이터 형식) 예를 들면 'A1'에 있는 값을 '2013년 3월 4일'형태로 나타내고 싶으면=TEXT(A1, "yyyy-mm-dd") 라고 하면, 값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