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ouseout
- insert
- Radio
- 속성
- 이벤트 함수
- split
- jQuery
- 광명
- DELETE
- hide
- sql
- SHOW
- 칼럼
- 문자열
- forEach.
- substr
- 실행막기
- substring
- JSTL
- truncate
- javascript
- script
- checked
- 스크립트
- 길이제한
- href
- DB
- 마우스
- Table
- Display
- Today
- Total
홈페이지 제작 전문 업체 Infovider 光明
가끔 웹개발을 하다보면 a태그를 넣어두고도 링크이동을 원치않을 때가 생긴다.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어 소개한다. proventDefault() 함수로, 용법은 아래와 같다. $(#id).click(fufntion(a) {a.preventDefault();}); 이렇게 하면 preventDefault()함수가 이벤트의 실행을 막아줌으오서 링크이동을 막을 수 있다. 환단고기 역주본 - 보급판국내도서저자 : 계연수 / 안경전역출판 : 상생출판 2012.09.03상세보기
input에서 text 속성으로 사용하다 보면 입력을 받지 말아야 하거나 회색처리를 해양 할 경우가 생긴다. 그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readonly속성으로 용법은 아래와 같다. $("input[name=id]").attr("readonly", true); // 입력금지 환단고기 - 보급판국내도서저자 : 계연수 / 안경전역출판 : 상생출판 2012.11.07상세보기
크롬으로 웹개발을 하다보면 가끔 성질날 때가 있다. 서버에 새로 올려서 확인할라 치면 지독히도 새페이지가 안나올 때다. F5키를 겁나게 눌러대도 캐쉬만 미친듯이 보여주면 나도 같이 미칠 노릇이다. 그럴 때면, 가끔 ie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잘 쓰지도 않는 ie를 켤려면 귀찮다.(ie는 웹표준에서는 좀 별루 미덥지도 못하고, 단지, 사용자가 캐쉬를 결정할 수 있어서 사용) 그런데, 크롬과 파이어폭스는 ie와 다르게 캐싱을 사용자가 결정할 수가 없다. 아마 빠른 페이지로딩을 위한 불편아닐까 생각해보지만, 여간 귀찮은게 아니다. 그럴때는, F12를 눌러서 개발자 도구를 켠다. 그리고 브라우저의 리후레쉬 버튼을 왼쪽 마우스로 꾹 눌리면 팝업상자가 뜨는데, 이 때 강력하게 새로고침이나 캐쉬를 삭제한 후 강력하게..
팝업을 띄우고 팝업창에 준비된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이 갈리면 적절한 부모창을 제어할 필요성을 느낀다.그 중에 부모창의 페이지를 변경하고 싶을 때, 기존에는 보통 를 사용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표준에서는 먹지를 안는다. 그래더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제어를 하는 것이 좋겠다. onclick="opener.parent.location.href='링크';self.close();" 위의 이벤트 코드를 부모창을 제어하고 싶은 곳에 넣으면 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이것은 div, p, span 등 태그는 다 먹일 수 있다. 환단고기 (포켓북/ 양장)국내도서저자 : 계연수,이기,이유립출판 : 상생출판 2013.01.15상세보기
코딩을 하다보면 아주 드물게 Unreachable Code라는 에러메세지가 나온다. 이는 그 코드는 결코 실행되지 않는 코드라는 뜻이다.보통 분기나 리턴에서 결코 실행되지 않는 코드를 경고해주는 에러메세지로 거의 대부분 return문에 많이 등장한다. 이의 해결책은 그 코드를 지우거나, 그 코드로 접근하게 만들면 된다.(;;) 즉, 실수로 넣은 거면 코드를 지우면 되지만, 필수코드인데 이 문구가 뜬다면, 십중팔구 앞에서 계산착오로 그 코드로 분기되어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것으로 보고 분기를 잘 살펴보면 해결 된다. 이도 저도 안되면 처음부터 다시 설계; 환단고기 - 보급판국내도서저자 : 계연수 / 안경전역출판 : 상생출판 2012.11.07상세보기
태그를 보여주거나 감추려할 때 쓰는 CSS에서의 속성은 display다. 속성 종류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block과 none만 확인하겠다. 그런데, 이것을 정적으로 지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페이지의 상황이나 유저의 선택에 따라 동적으로 하자고 하면스크립트를 이용하거나 jQuery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그럼, 우선 기존의 스크립트에서는 obj.style.display = block; //보임obj.style.display = none; //안보임 이는 스크립트로 오브젝트(태그)의 속성으로 접근해서 속성값을 지정하는 것이다.이를 jQuery로 표현하면 $("#id").css("display") = 속성값;$("#id").attr("display", "속성값"); 이다. 그런데, 이것은 함수로도..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mouseout() .mouseout(handler(eventObject)); : handler -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기능 .mouseout([eventData], handler(eventObject)) : eventData - 이벤트 핸들러에 전달할 데이터들 handler -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기능 지시자로 요소를 찾아서 함수를 붙이면 된다. $("#button1").mouseout(function () {//마우스가 나갔을 때 실행 될 기능}); 위와 같이 쓰면 된다. 참고로 .mouseout() 함수는 .bind('mouseout', handler)와 .trigger('mouseout') 함수를 줄여서 표현한 것입니다. 환단고기 현토원본 - 원전국내도서..
게시판 하나 늘릴려고 작업을 하는데 갑자기 에러가 뜹니다. 다른 페이지에서는 되는 데, 이것만 유독 에러가 나서 헤메다 구글링을 했습니다. 에러메세지 내용 중 핵심 에러구문이 가르키는 것은 아래 구문이었습니다. MultipartHttpServletRequest mhsReq = (MultipartHttpServletRequest)request; 서버에 게시글 저장하기 위해 호출하는 컨트롤러기에 다른 곳에서 되는 것 그대로 복사했습니다. 당연되는 구문이 안되니 아찔. 한참을 헤메다 혹시나 하고 "MultipartHttpServletRequest 에러"라고 검색해보니 첫번째로 아래 링크의 페이지가 뜨더군요. http://okjsp.net/seq/155393 그런데 아래 댓글이 너무 시크 합니다. 그래서 확인해..